동기 / 비동기 학습을 하면서 비동기로 작동하는 코드를 제어하는 방법인 promise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는데 예전에 우테코 프리코스 진행할 때, try / catch가 생각났고 promise도 .catch를 사용해서 에러가 날 때 알려주고 함수 호출도 가능한데 promise랑 try / catch 둘 다 똑같은거 아냐 ? 라고 생각했는데 틀렸다;
결론은 promise를 사용하는 목적은 비동기적인 작업을 다루기 위한 객체이자, 어떠한 처리들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try / catch를 사용하는 목적은 동기적인 작업을 다루기 위한 객체이자, try 안에서 일어나는 예외 처리를 catch에서 하는 작업이다. 헷갈리지 말자 !
내일은 월요일에 할 과제 타이머 API 과제 진행을 미리 예습 해보자 !
3월 19일 (일)
코드스테이츠 비동기 / 동기 학습에 있는 과제 타이머 API를 미리 예습해보았는데 아무리 봐도 무슨말인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