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t Camp/code states

코드스테이츠 OT - [ 메타인지적 학습법 / 앞으로의 나의 다짐 ]

2023. 3. 23. 01:44
목차
  1. 메타인지적 학습법
  2. 이제부터는,

OT를 진행하면서 앞으로 개발 공부를 하며 필요한 마음가짐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 중에 제일 인상 깊었던 부분은 메타인지적 학습법 이었다.

메타 인지적 학습법의 핵심에 대해 알아보자.

 

메타인지적 학습법

  • 메타인지의 핵심
완주할수있는 속도와 자세유지
남과 비교하지 않고 나 자신과 목표에 집중하기
절대 포기하지 않기

 

OT날의 과제  - 앞으로의 나의 다짐을 정해놓자.

 

이제부터는,

코드스테이츠 OT를 시작하며 강의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앞으로 어떻게 마음 가짐을 가져야 하는지, 

메타인지적 학습법을 실천하는지에 대해 알게 되었고 정말 내가 개발자의 길에 발을 올려 놓았다는 실감이 났다.

많이 떨리고 외롭고 힘들겠지만 내 주변에는 도움을 주는 많은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겁이 많이 나진 않는다.

동기들이든 지인분들이든 힘들거나 모르는게 있다면 꼭 도움을 받자.

나중에 이 글을 읽으며 내가 아직까지도 이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는지도 체크해보는것이 좋은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메타인지적 학습 꼭 기억하고 화이팅하자 

'Boot Camp > code sta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ode States ] Refactor Express 과제  (0) 2023.04.06
[ Code States ] Mini Node Server 과제  (0) 2023.04.06
[ Code States ] Section 1 / KDT 회고  (0) 2023.03.22
[ javascript ] - JavaScript Koans 과제  (0) 2023.03.22
[ script ] - script 구현 과제  (0) 2023.03.21
  1. 메타인지적 학습법
  2. 이제부터는,
'Boot Camp/code sta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Code States ] Refactor Express 과제
  • [ Code States ] Mini Node Server 과제
  • [ Code States ] Section 1 / KDT 회고
  • [ javascript ] - JavaScript Koans 과제
_moda
_moda
프론트엔드 개발 공부를 하고 있읍니다.
_moda
ModaLog
_moda
전체
오늘
어제
  • All Records
    • 취업 준비
    • TIL
    • Front end
      • HTML \ CSS
      • JavaScript
      • TypeScript
      • React
      • GIT
      • Node.js
      • 개발 지식
      • 면접 질문 공부
    • Boot Camp
      • code states
      • Project
    • 자료구조 \ 알고리즘 기법
    • Coplit
    • Programmers
    • 모다딥 공부 정리

블로그 메뉴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 개발자로 가는 길

인기 글

태그

  • 모던 자바스크립트 딥 다이브
  • Coplit
  • CODE STATES
  • typescript
  • react
  • til
  • 코드스테이츠
  • javascript
  • 타입스크립트
  • 네트워크 기초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_moda
코드스테이츠 OT - [ 메타인지적 학습법 / 앞으로의 나의 다짐 ]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